이틀 전 1층서도…이런 불, 매년 400건
페이지 정보
작성자 행복한 댓글 0건 조회 24회 작성일 24-06-28 15:45본문
리튬, 고온·수증기에도 ‘불’…취급 부주의 사전에 조심해야
23명의 목숨을 앗아간 경기 화성시 리튬 전지 공장 화재처럼 ‘화학반응열’이 발화 원인이 된 화재 사고가 2016년 이후 한 해 400~500건씩 발생하며 급증 추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화학적 폭발에 따른 화재와 배터리 화재도 해마다 느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사고에서도 드러난 ‘샌드위치 패널’ 구조물 화재 역시 여전히 매년 3000건 안팎을 기록했다.
아리셀 공장에서 지난 22일에도 한 차례 리튬 배터리에서 불이 났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향신문이 25일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화재통계 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화학반응열이 원인이거나 화학적 폭발이 발화 요인인 화재 발생 건수는 2016년을 기점으로 늘었다. 발화의 최초 원인이 화학반응열로 분류된 경우는 2008~2015년에는 200~300건씩 나타났으나, 2016년 514건 이후 지난해까지 꾸준히 400~500건씩을 유지했다. 올해 상반기에만 279건으로 집계된 상태다. 다만 인명 피해는 6명이 사망한 2013년을 제외하면 매년 1~2명에 그쳤다. 화학적 폭발 화재도 매년 늘어 한 해 100건에 육박했다. 2008년 15건인 화학적 폭발 화재는 2019년 50건을 넘긴 후 지난해 84건, 올 상반기에만 71건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배터리·축전기’ 화재도 크게 늘고 있다. 2008년 39건에서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2023년 160건, 올 상반기에는 101건을 기록했다.
이번 화재 사고의 발화 원인으로 지목되는 ‘리튬 1차전지’는 2차전지인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선 화재 위험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리튬 자체가 화학적 반응성이 큰 금속이라 고온에 노출되거나 수증기와 만나면 불이 날 수 있다. 이번 사고처럼 화학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며 불이 커지는 ‘열폭주 현상’도 화재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번 사고 현장에는 배터리 셀 3만5000여개가 보관돼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대형 화재 사고 현장에서 단골로 등장해온 ‘샌드위치 패널’ 구조 역시 이번 화재에서 빠지지 않았다. 샌드위치 패널은 철판 사이에 스티로폼과 우레탄 등 단열재를 채워 넣은 건축자재다.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쉽지만 화재에 취약하다. 샌드위치 패널에 가연성 자재 사용을 제한하는 품질인정 조항은 2021년 12월에 신설됐지만 기존에 지어진 건물에는 소급 적용할 수 없어 샌드위치 패널은 아직 쓰인다.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통계를 확인한 결과 경기 이천 코리아2000 냉동창고 참사(40명 사망)가 발생한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샌드위치 패널 화재로 한 해 평균 20명이 목숨을 잃었다. 2008년 참사 이후 16년이 지났지만, 샌드위치 패널 건물의 화재 사고는 지난해를 제외하고 매년 3000건씩을 기록했다.
아리셀 측은 이날 브리핑에서 토요일이었던 지난 22일 오후에도 2동 1층에서 화재가 한 차례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발생한 바 있다고 했다. 이 사실은 소방당국에 따로 통보되지 않았다.
23명의 목숨을 앗아간 경기 화성시 리튬 전지 공장 화재처럼 ‘화학반응열’이 발화 원인이 된 화재 사고가 2016년 이후 한 해 400~500건씩 발생하며 급증 추세인 것으로 확인됐다. 화학적 폭발에 따른 화재와 배터리 화재도 해마다 느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번 사고에서도 드러난 ‘샌드위치 패널’ 구조물 화재 역시 여전히 매년 3000건 안팎을 기록했다.
아리셀 공장에서 지난 22일에도 한 차례 리튬 배터리에서 불이 났던 것으로 확인됐다.
경향신문이 25일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화재통계 등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화학반응열이 원인이거나 화학적 폭발이 발화 요인인 화재 발생 건수는 2016년을 기점으로 늘었다. 발화의 최초 원인이 화학반응열로 분류된 경우는 2008~2015년에는 200~300건씩 나타났으나, 2016년 514건 이후 지난해까지 꾸준히 400~500건씩을 유지했다. 올해 상반기에만 279건으로 집계된 상태다. 다만 인명 피해는 6명이 사망한 2013년을 제외하면 매년 1~2명에 그쳤다. 화학적 폭발 화재도 매년 늘어 한 해 100건에 육박했다. 2008년 15건인 화학적 폭발 화재는 2019년 50건을 넘긴 후 지난해 84건, 올 상반기에만 71건으로 증가세를 보였다. ‘배터리·축전기’ 화재도 크게 늘고 있다. 2008년 39건에서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2023년 160건, 올 상반기에는 101건을 기록했다.
이번 화재 사고의 발화 원인으로 지목되는 ‘리튬 1차전지’는 2차전지인 리튬이온 배터리에 비해선 화재 위험이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리튬 자체가 화학적 반응성이 큰 금속이라 고온에 노출되거나 수증기와 만나면 불이 날 수 있다. 이번 사고처럼 화학반응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며 불이 커지는 ‘열폭주 현상’도 화재 확산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번 사고 현장에는 배터리 셀 3만5000여개가 보관돼 있던 것으로 전해졌다.
대형 화재 사고 현장에서 단골로 등장해온 ‘샌드위치 패널’ 구조 역시 이번 화재에서 빠지지 않았다. 샌드위치 패널은 철판 사이에 스티로폼과 우레탄 등 단열재를 채워 넣은 건축자재다. 가격이 저렴하고 시공이 쉽지만 화재에 취약하다. 샌드위치 패널에 가연성 자재 사용을 제한하는 품질인정 조항은 2021년 12월에 신설됐지만 기존에 지어진 건물에는 소급 적용할 수 없어 샌드위치 패널은 아직 쓰인다.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통계를 확인한 결과 경기 이천 코리아2000 냉동창고 참사(40명 사망)가 발생한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샌드위치 패널 화재로 한 해 평균 20명이 목숨을 잃었다. 2008년 참사 이후 16년이 지났지만, 샌드위치 패널 건물의 화재 사고는 지난해를 제외하고 매년 3000건씩을 기록했다.
아리셀 측은 이날 브리핑에서 토요일이었던 지난 22일 오후에도 2동 1층에서 화재가 한 차례 인스타 한국인 팔로워 발생한 바 있다고 했다. 이 사실은 소방당국에 따로 통보되지 않았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